THE BLUE
COOKBOOK
지속가능한 수산물 레시피
![](./assets/n6TdBxjceh/rs9292_choosesustainableseafood-1000x529.png)
![](./assets/laYR9ZOQ5X/fallback-1280x720.jpeg)
![](./assets/Bel2pXVkoh/food-v2-2560x1440.jpeg)
2021년 새해에도 지속가능한 바다를 위해
MSC 에코라벨을 선택해주세요.
MSC와 함께 #BigBlueFuture 캠페인에 동참해주세요.
![](./assets/lsPQbwj7me/food-v2-2560x1440.jpeg)
여러분의 선택이...
![](./assets/lreLjiLBzC/new-porthole-2560x1440.jpeg)
...바다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![](./assets/WrSmhQ3Mif/new-porthole-2560x1440.jpeg)
여러분의 선택이...
![](./assets/h8vUNlut0i/new-porthole-2560x1440.jpeg)
...바다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![](./assets/7LpxPjw2Oz/new-porthole-2560x1440.jpeg)
MSC 에코라벨을 확인하세요!
msc 에코라벨을 선택하는 작은 실천이
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바다를 만들 수 있습니다.
![](./assets/uuGwxSVCU1/choosethebluefish-01white-2560x1838.png)
Let's cook!
지속가능한 수산물 레시피
![](./assets/UoAYeaBJuP/recipes-intro-1-2560x480.png)
![](./assets/VR0J4SC8J1/blue-with-fade-top-and-bottom-2560x1440.jpeg)
알고 계셨나요?
전 세계 인구의 최대 10%가
어업에 생계를 의존하고 있습니다.
![](./assets/Foenu4mECX/hub-page-facts-4-2560x720.png)
MEET THE CHEFS
지속가능한 수산물 레시피는 msc 글로벌 셰프를 통해 제공받았습니다.
![](./assets/oBD5Ei34m5/page-5-1280x720.png)
![](./assets/o7j1BfchxE/page-6-1280x720.png)
![](./assets/PNbBUwxBk3/page-3-1280x720.png)
![](./assets/hYN1JIGTEE/page-4-1280x720.png)
![](./assets/0VfD1fydoW/page-1-1280x720.png)
![](./assets/TnqwC3Amcn/page-5-1280x720.png)
![](./assets/wOlg2MlWAE/page-3-1280x720.png)
![](./assets/nH8gx8Zt9b/page-6-1280x720.png)
![](./assets/7AxUCVecBG/page-1-1280x720.png)
![](./assets/JWI0HwsmOa/page-4-1280x720.png)
어종에 대한 정보
![](./assets/K1peWXK9ao/page-3-500x500.png)
참치
흔히 참치라고 불리는 다랑어류는 가장 인기 있고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어종 중 하나입니다.
![](./assets/qArueNzLcS/maps-for-species-info-1280x720.png)
참치는 지중해 뿐만 아니라 태평양, 대서양, 인도양에서도 서식합니다.
![](./assets/KcfLoBZlo8/icons-for-species-1280x206.png)
현재 전 세계 참치 어획량의 약 25%는 MSC 인증을 받은 지속가능한 어장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. 이를 제외한 참치는 여전히 남획되고 있기 때문에 참치를 구매할 때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! | 참치는 바다에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어종 중 하나입니다. 황다랑어는 시속 약 30마일의 폭발적인 속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. |
![](./assets/yDAyEbX8Oq/jumping-arrow-white-200x200.png)
![](./assets/JGu4PtK1tG/page-6-500x500.png)
대구
대구는 매우 인기 있는 어종 중 하나로, 석기시대부터 유럽인들의 주요 식재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. 대구는 대서양 대구, 태평양 대구, 그린란드 대구로 총 세 종류가 있습니다.
![](./assets/Ft8jOM3JC0/page-4-1280x720.png)
대구는 전 세계 바다에 서식하고 있지만 MSC 인증을 받은 지속가능한 대구는 북동대서양 및 북태평양에서 어획됩니다.
![](./assets/Z5GGXhTpky/icons-for-species-1280x206.png)
대구 자원은 과거부터 심각하게 남획되었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어장에서 생산된 대구를 소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. 자원 회복을 위해 MSC와 함께 지속가능한 어업을 응원해주세요. | 대구는 턱 아래에 미각 신경을 지닌 수염이 자라는데, 이를 통해 어두운 물 속에서 먹이를 찾습니다. |
![](./assets/zy43aZR6rt/jumping-arrow-white-200x200.png)
![](./assets/f8U06nWzbL/page-1-500x500.png)
넙치
넙치는 가자미과에 속하는 세 종류의 큰 넙치류에 속합니다. 태평양, 대서양, 그린란드 넙치가 있습니다.
![](./assets/wVh97d0JGi/maps-for-species-info-1-1280x720.png)
MSC 인증 넙치는 북동태평양과 북서대서양에서 어획됩니다.
![](./assets/RmHnPmOk8O/icons-for-species-1280x206.png)
대서양 넙치의 자원량 수준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낮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어업 방식의 도입이 필요합니다. 일부 지역은 이러한 조치 덕분에 매우 높은 수준으로 자원이 회복되고 있습니다. | 대서양 넙치는 길이가 4.6m에 이르는 세계에서 가장 큰 넙치류 중 하나입니다. |
![](./assets/VkECkeU9oY/jumping-arrow-white-200x200.png)
![](./assets/UARAUCUm5e/page-9-500x500.png)
새우
새우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주요 식재료 중 하나입니다.
![](./assets/4T2CgopsZO/page-8-1280x720.png)
자연산 새우는 대서양, 태평양, 북극, 인도양 등 전 세계적에서 어획됩니다.
![](./assets/rh0e26TBzO/icons-for-species-1280x206.png)
새우가 남획되는 비중은 다른 어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, 새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일부 새우자원이 위협받고 있습니다. | 새우는 종에 따라 최소 1인치에서 최대 30cm까지 크기가 다양합니다. |
![](./assets/2lDnm4rVsU/jumping-arrow-white-200x200.png)
![](./assets/pDPnAXgtLr/img_9114-500x500.png)
해덕
해덕은 부드러운 맛과 단단한 살 그리고 촉촉한 식감을 가지고 있으며, 훈제하기 좋은 흰살생선 중 하나입니다.
![](./assets/wXPDKugSxE/page-9-1280x720.png)
해덕은 북동대서양과 북서대서양 연안에서 어획됩니다.
![](./assets/wx7qHMa0eF/icons-for-species-1280x206.png)
해덕은 전 세계적으로 MSC 에코라벨 제품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. | 해덕은 등살에 검은 얼룩무늬가 있으며, 일명 "악마의 지문"이라고 불립니다. |
![](./assets/zfoDD4FPBO/jumping-arrow-white-200x200.png)
![]() |
Image Credits |
Species illustrations: Scandinavian Fishing Year Book
People from the sea: MSC / Nigel Millard
Photo of Chef Lucas: Grand Hyatt Singapore
Photo of Chef Dagny: Bas Bogaerts
Photo of Chef Frida: Lennart Weibull
Photo of Chef Mitch: www.therockfish.co.uk
Fish video: iStock
Photo of Chef Otto: Executive chef Otto Goh from Kerry Hotel Shanghai
Photo of Chef Bart: David Loftus
Photo of Chef Charlotte: Rick O’Brien
Photo of Chef Siba: The Siba Co
Photo of Chef Jesper: Tuukka Ervasti/MSC
Photo of Chef Rebeca: Donna Salama
Porthole: Getty Images